📘 회계 입문 시리즈 #5
재무제표 보는 법 – 실전편 👀
안녕하세요!
오늘은 드디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던 "재무제표 보는 법",
그것도 실전적으로!
어디를 어떻게 봐야 중요한 포인트를 캐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재무제표는 숫자 잔치라 어려워요!" 하시는 분들,
오늘 이 글만 읽으시면 핵심만 쏙쏙! 뽑아내는 눈이 생기실 겁니다.
📊 재무제표란 무엇이었죠?
잠깐 복습해볼게요.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 경영 성과, 현금 흐름을 정리한 보고서예요.
재무제표 3종 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2️⃣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 재무제표 보는 법 핵심 3단계
📌 "1분 안에 이 회사가 괜찮은 회사인지 보려면?"
아래 3가지만 빠르게 체크하세요:
- 손익계산서에서 수익성과 이익 확인
- 재무상태표에서 부채 비율과 자산 구조 파악
- 현금흐름표에서 진짜 돈이 돌고 있는지 확인
이제 하나씩 실제 예시로 배워볼게요!
📄 1.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이 회사, 돈 벌고 있나?"
손익계산서는 이 질문에 답해줍니다.
🔍 예시 요약
항목 금액
| 매출액 | 10억 원 |
| 매출원가 | 6억 원 |
| 매출총이익 | 4억 원 |
| 판관비 | 2억 5천만 원 |
| 영업이익 | 1억 5천만 원 |
| 법인세비용 | 3천만 원 |
| 당기순이익 | 1억 2천만 원 |
👁🗨 어디를 봐야 하나요?
✅ 영업이익
- 핵심 영업활동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
- 매출 대비 몇 %인지 계산해 보세요.
예) 영업이익률 = 1.5억 / 10억 = 15% → 좋은 편!
✅ 당기순이익
- 최종적으로 주머니에 남는 돈
- 적자(마이너스)이면 경고 신호
🏦 2.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이 회사 튼튼한가요? 빚은 많지 않나요?"
재무상태표는 이 질문에 답합니다.
🔍 예시 요약 (2025.12.31 기준)
항목 금액
| 자산총계 | 20억 원 |
| 부채총계 | 8억 원 |
| 자본총계 | 12억 원 |
👁🗨 어디를 봐야 하나요?
✅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 100
→ 8억 / 12억 × 100 = 66.7% - 보통 100% 이하이면 안정적이라고 평가
✅ 유동자산 vs 유동부채
- 단기적으로 갚아야 할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
💡 참고: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150% 이상이면 안정적
💸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장부상 이익이 아닌, 실제 현금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나?"
이걸 보여주는 게 바로 현금흐름표입니다.
🔍 예시 요약
구분 금액
| 영업활동 현금흐름 | +1.8억 원 |
| 투자활동 현금흐름 | -1억 원 |
| 재무활동 현금흐름 | -5천만 원 |
| 기말 현금 | 8천만 원 |
👁🗨 어디를 봐야 하나요?
✅ 영업활동 현금흐름
- 가장 중요!
- 영업하면서 실제로 현금이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
- (+)면 안정적, (–)면 위태로울 수 있음
✅ 투자활동/재무활동 흐름은 참고용
- 설비투자, 대출상환 등 장기 흐름 판단
※ 순이익이 흑자인데 영업현금흐름이 마이너스면?
장부상 이익은 있지만 실제로 돈이 없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 요약: 재무제표 실전 분석 한눈에 보기
구분 핵심 포인트 해석 기준
| 손익계산서 |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 | 흑자 유지 여부, 수익성 |
| 재무상태표 | 부채비율, 유동비율 | 재무 건전성 |
| 현금흐름표 | 영업현금흐름 | 실제 현금 창출 능력 |
✅ 마무리하며
재무제표는 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기업의 체력, 수익성, 생존 가능성이 다 들어있어요.
오늘 알려드린 방식대로
3개 재무제표에서 각 1~2개 핵심 숫자만 봐도,
그 회사의 상태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 예고
회계 입문 시리즈 #6: 회계사·세무사 없이도 장부 쓰는 법
– 혼자서 회계 관리하는 법, 쉬운 가계부/간편장부부터 전표 기록까지 소개!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 ♥과 댓글 💬은 큰 힘이 됩니다!
“재무제표 해석법 연습용 자료”나
“간단한 기업 분석 PDF”가 필요하시면 댓글로 요청해주세요 😊
'회계를 알면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회계를 알면 돈이 보인다> #7. 부가세 vs 종소세 – 헷갈리는 세금 개념 총정리 (0) | 2025.09.09 |
|---|---|
| <회계를 알면 돈이 보인다> #6. 회계사·세무사 없이도 장부 쓰는 법 (0) | 2025.09.08 |
| <회계를 알면 돈이 보인다> #4. 회계 용어 쉽게 정리하기 (0) | 2025.09.07 |
| <회계를 알면 돈이 보인다> #3. 복식부기란 무엇인가? (0) | 2025.09.07 |
| <회계를 알면 돈이 보인다> #2. 재무제표란 무엇인가? (2) | 2025.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