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를 알면 시리즈

<회계를 알면 돈이 보인다> #7. 부가세 vs 종소세 – 헷갈리는 세금 개념 총정리

by az-money 2025. 9. 9.

 

📘 회계 입문 시리즈 #7

부가세 vs 종소세 – 헷갈리는 세금 개념 총정리 💡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초보 사업자, 프리랜서, 자영업자분들이 헷갈려하는 세금 2대장!
바로 **부가가치세(VAT)**와 종합소득세의 차이점과 신고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 부가세? 종소세?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처음 사업을 시작하면 이렇게 생각하게 됩니다:

✔️ 부가세도 내고, 종소세도 내고...
✔️ 이건 매달 내는 건가요? 분기마다?
✔️ 매출은 있는데 세금이 왜 이렇게 많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이 글 하나면 완벽하게 구분하고, 부담 없이 준비할 수 있습니다.


🔍 두 세금의 핵심 차이 요약

구분 부가세 (VAT) 종합소득세 (종소세)

무엇에 대한 세금? 소비에 대한 세금 소득(이익)에 대한 세금
누가 내나요? 소비자 → 판매자가 대신 납부 사업자 본인이 납부
기준 매출액 순이익(수입 – 비용)
납부 시기 1년에 2번 (1월, 7월) 1년에 1번 (5월)
대표 양식 부가가치세 신고서 종합소득세 신고서
공제 항목 매입세액 공제 가능 비용 공제 가능

📦 1. 부가가치세(VAT)란?

✅ “판매자가 소비자 대신 납부하는 소비세”

📌 예시:

  • 당신이 커피 1잔을 5,500원에 판매했어요.
  • 여기엔 **부가세 500원(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 부가세는 국가에 납부해야 하는 돈입니다.

💡 포인트:

  • 사업자는 부가세를 자기 돈처럼 쓰면 안 됨
  • 6개월마다 정산해서 신고·납부해야 함

🔁 부가세 신고 주기

신고 기간 대상 기간 신고 시기

1기 1~6월 매출 7월 1~25일
2기 7~12월 매출 다음 해 1월 1~25일

💬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1월)**만 신고합니다.


💰 2. 종합소득세란?

✅ “사업자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에 대한 세금”

소득세는 '매출'이 아니라
매출 – 비용 =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예시:

  • 연 매출: 5,000만 원
  • 총 비용: 2,000만 원
    → 순이익: 3,000만 원
    → 이 3,000만 원에 대해 종합소득세를 계산합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 시기

  •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홈택스 또는 세무서에서 신고 가능
  • 미신고 시 가산세 부과

✨ 부가세 vs 종소세, 한눈에 비교

항목 부가세 종합소득세

납부 주체 소비자 (판매자가 대납) 사업자 본인
세금 기준 매출액의 10% 순이익 (수익 – 비용)
납부 시기 1월, 7월 5월
공제 방식 매입세액 공제 비용 공제
간이과세자 세율 낮고 1년 1회 종소세는 일반과 동일
미신고 시 가산세 부과, 신고불성실 최대 20% 가산세 발생

📌 초보자를 위한 세금 관리 팁

✅ 매출이 발생할 때마다 부가세를 따로 분리해 두세요
→ 개인 통장과 구분하면 실수 줄일 수 있어요.

지출 영수증을 꼼꼼히 보관하세요
→ 종소세 신고 시 비용공제에 활용 가능

✅ 간편장부라도 작성해두면
→ 세무 신고 시 훨씬 수월하고, 공제도 챙길 수 있어요

부가세는 매출 기준, 종소세는 이익 기준
→ 개념만 정확히 이해하면 절대 헷갈리지 않아요!


🧾 정리 요약

✔️ 부가세 = “고객이 낸 소비세를 대신 납부”
✔️ 종소세 = “내가 번 돈에 대한 세금”
✔️ 신고 시기만 잘 기억해도 80%는 해결됩니다!


🔜 다음 글 예고

회계 입문 시리즈 #8: 비용처리 제대로 하는 법 – 세금 줄이는 핵심 노하우
– 어떤 지출이 비용처리 되고, 어떤 건 안 되는지 실전 사례로 알려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혹시 헷갈리는 세금 개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간단한 세금 계산기, 부가세/종소세 시뮬레이션 엑셀도 원하시면 제공해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