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품목별 할인율 참여 채널 지역별 특화행사 완벽분석

by az-money 2025. 10. 28.

이번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단순한 유통 할인행사를 넘어,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소비 진작 캠페인으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문화체육관광부 등 10개 부처가 각각의 소비 분야를 맡아 할인전과 기획전을 운영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기간 부문별 할인 품목

아래는 부문별 할인 품목과 주요 특징이다.

 

 

▶ ① 생활·가전·자동차 부문 (산업통상자원부)

대상 품목: 대형가전(냉장고, 세탁기, TV 등), 중소형가전(청소기, 공기청정기, 전기레인지 등), 자동차·전기차·이륜차 관련 상품

할인율: 평균 10~30%, 일부 품목은 행사 카드 결제 시 최대 40%까지 할인

특징: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제품 구매 시 정부의 ‘고효율 가전 환급제’와 연계되어 실질 할인폭이 더 커진다.

대표 행사: 롯데하이마트 ‘가을 리빙페어’, 전자랜드 ‘리퍼브 기획전’, 현대자동차 ‘코리아페스티벌 한정 프로모션’ 등.

 

▶ ② 식품·농축수산물 부문 (농식품부·해수부)

대상 품목: 쌀, 과일, 축산물, 수산물, 김치류, 장류 등

할인율: 15~50% 수준,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 등) 모두 참여

특징: 최근 농수산물 가격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지자체가 할인쿠폰 20~30% 지원을 제공

대표 행사: 농협하나로마트 ‘대한민국 농산물 대전’, 수협 ‘수산물 소비촉진전’, 각 지역 로컬푸드 직거래장터.

▶ ③ 패션·뷰티·생활용품 부문 (산업부·중기부)

대상 품목: 의류, 잡화, 화장품, 리빙소품, 문구류 등

할인율: 30~70%의 대폭 할인

특징: 패션 브랜드들이 시즌오프와 연계해 참여하며, 중소기업·국산 브랜드 중심으로 ‘K-디자인 스페셜전’ 개최

대표 행사: 무신사 ‘코리아페스티벌 위크’, 올리브영 ‘뷰티위크’, LF몰 ‘패션 상생 기획전’.

 

▶ ④ 여행·숙박·문화 부문 (문체부)

대상 품목: 국내숙박, 관광상품, 공연·전시·체험 프로그램

할인율: 숙박 최대 5만 원 할인 쿠폰, 공연·전시 최대 50% 할인

특징: 여행 플랫폼(야놀자, 여기어때, 인터파크투어 등)에서 예약 시 할인 적용

대표 행사: ‘전국 문화가 있는 날 특별전’, ‘K-트래블 세일 위크’, ‘지역축제 연계 숙박할인 캠페인’.

 

▶ ⑤ 디지털콘텐츠·통신·IT 부문 (과기정통부)

대상 품목: 스마트폰, 태블릿, 통신요금제, OTT·게임·전자책 구독권

할인율: 10~30%, 일부 통신사 요금제는 페이백 형태로 최대 5만 원 상당 혜택

대표 행사: KT·SKT·LGU+ ‘상생 요금제 프로모션’, 네이버·쿠팡플레이·티빙의 콘텐츠 구독 할인.

 

참여 채널별 혜택 정리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과 배달앱, 간편결제 서비스 등 민간 채널이 대거 참여하면서, 소비자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졌다.

 

https://xn--2i0bs4klockyciufozlkwe0my1nh7ub.kr/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

전국 소비축제를 한눈에! 국가단위 대규모 소비축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의 부처별 할인행사, 기획전, 이벤트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홈페이지입니다.

xn--2i0bs4klockyciufozlkwe0my1nh7ub.kr

 


특히 ‘상생소비복권’과 ‘상생페이백’ 시스템은 주요 포인트다.

 

 

▶ ①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상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할인 (월 100만 원 한도)

행사 기간 중 전통시장 이용자 대상 상생소비복권 자동 응모

일부 지역은 구매금액의 5~10%를 지역화폐로 추가 적립

현장 이벤트: 시장 방문 인증 시 소정의 기념품 제공, SNS 해시태그 이벤트 병행

 

▶ ② 대형 유통업체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등 주요 유통3사가 공동 참여

행사 전용 카드 결제 시 최대 20% 청구할인 + 포인트 5배 적립

특정 브랜드관에서는 ‘1+1 기획전’, ‘타임특가’, ‘1일 한정 딜’ 진행

 

▶ ③ 온라인 쇼핑몰

네이버, 쿠팡, 11번가, G마켓, 인터파크, 위메프 등 6대 오픈마켓 동시참여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 기획전’ 카테고리 운영

결제수단(네이버페이, 토스페이, 카카오페이 등)에 따라 추가 즉시할인 5~10% 제공

‘상생페이백’ 이벤트 참여 시, 누적 소비액의 10%를 포인트로 환급 (최대 3만 원 한도)

 

▶ ④ 배달앱·지역 플랫폼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전국 배달앱 참여

지역상생형 브랜드(예: 전남 ‘배달완도’, 강원 ‘먹깨비’)도 동참

행사기간 중 음식 주문 3회 이상 시 상생복권 자동응모 + 배달비 1회 무료쿠폰 제공

 

▶ ⑤ 간편결제 및 금융기관

토스, 카카오페이, 신한·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카드사 공동 프로모션

이벤트 카드로 결제 시 최대 10% 캐시백 + 복권추첨권 지급

중소기업·소상공인 업종 결제액이 많을수록 당첨 확률 가중

일부 카드사는 ‘코리아페스티벌 포인트몰’을 통해 상품권·기프트카드 교환 행사도 운영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지역 특화행사

전국 16개 시도에서 약 40여 개의 지역 소비축제가 동시 개최된다.
각 지역은 자체 테마를 설정해 전통시장, 문화행사, 로컬푸드 판매전 등을 진행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지역 주요 행사명 주요 내용
서울 서울쇼핑위크 명동·동대문·강남 중심 할인전, MZ세대 타깃 패션마켓
부산 부산불꽃세일 광안리·서면 일대 야간 세일행사, 불꽃축제와 연계
대구 컬러풀페스타 대구백화점·동성로·전통시장 동시 할인전
인천 바다의 맛·항만의 빛 수산물 특화전 + 항만관광 패키지
광주 빛고을 상생페어 로컬기업 박람회, 청년창업 부스 운영
대전 사이언스&쇼핑위크 연구특구 기업 상품전 + 과학체험 이벤트
울산 산업도시 세일주간 자동차·기계부품 중심 기업기획전
경기 경기도 소비주간 지역화폐·전통시장 결제시 10% 페이백
강원 청정강원마켓 농특산물 직거래, 관광지 숙박할인 연계
충북 충북사랑페어 중소기업 우수제품전, 페이백 이벤트
충남 행복한 충남세일 서천 한산모시, 홍성 한우 등 대표품목 할인
전북 전북로컬위크 농식품 브랜드전 + 지역예술 체험
전남 남도바다장터 수산물·김치류 공동 판촉전
경북 영남특산페스티벌 경북 23개 시군 공동기획전
경남 경남경제상생전 제조업·창업기업 상품 특별전
제주 제주웰컴페스타 감귤·관광패키지 연계 할인, 제주관광공사 협업

 

 

이처럼 지역별로 특색 있는 행사가 구성되어 있어, 지역축제 + 소비진작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다.
서울·부산·대구처럼 대도시는 유통·패션 중심, 강원·전남·제주는 농수산물 및 관광 중심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상생소비복권 상생페이백 제도 꿀팁

상생소비복권 & 상생페이백 제도 요약

이번 축제의 핵심 이벤트 두 가지는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금전적 혜택을 제공하는 ‘상생소비복권’과 ‘상생페이백’이다.

 

 

구분 내용 혜택
상생소비복권 행사 기간 중 5만 원 이상 결제한 소비자 자동응모 추첨을 통해 1등 100만 원, 2등 50만 원, 3등 10만 원 상품권 지급
상생페이백 행사 기간 누적 소비액 30만 원 이상 시 사용금액의 10% 환급 (최대 3만 원 한도)
중복 가능 여부 가능 (동일 결제도 복권 자동응모) -
참여 경로 카드결제, 간편결제, 지역상품권 모두 포함 -

특히 상생소비복권은 추첨식 이벤트로, 당첨자는 행사 종료 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생페이백은 결제수단에 따라 자동 적립되며, 카드사별로 12월 중 지급된다.

 

참여 꿀팁 5가지

1. 카드사 이벤트 중복 활용
예: 신한카드 ‘코리아페스티벌 결제 이벤트’ + 상생페이백 + 온라인몰 쿠폰 3중 혜택 가능.

2. 지역행사 방문 시 인증 이벤트 참여
SNS 인증으로 소정의 상품권 제공.

3.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한도 체크
미리 충전하면 결제 지연 없이 사용 가능.

4. 가전제품 구매 시 환급제 병행
에너지효율 가전 환급제와 결합 시 최대 50만 원 환급 가능.

5. 복권 추첨일 확인
11월 중순 공식 홈페이지 발표 예정이므로 응모내역 확인 필수.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단순히 “세일 시즌”이 아니라,
국민 소비 진작 + 지역경제 회복 + 소상공인 상생이라는 세 축이 맞물린 국가적 이벤트다.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이어지는 12일간,
전국 곳곳에서 쇼핑, 맛, 여행, 문화가 결합된 다채로운 소비 축제가 펼쳐진다.
전통시장에서 소상공인과 함께하고, 온라인에서는 스마트하게 혜택을 누리며,
‘나의 소비가 경제를 살리는 경험’을 해보길 권한다.